직능연 ‘대졸자 노동시장 이행 기간과 첫 일자리’ 발표

세종–(뉴스와이어) 2023년 06월 30일 —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실태를 분석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대학 졸업 후 노동시장으로 진입하는 기간이 짧으며 전공별 미취업은 인문사회계열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류장수)은 6월 30일(금) ‘The HRD Review 26권 2호 조사·통계 브리프(대졸자 노동시장 이행 기간과 첫 일자리)’를 통해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 이 결과는 최근 5개년(2017~2021년)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중 매년 5월 실시하는 청년층 부가조사 자료의 만 15~34세 청년층 중 전문대학 졸업자(총표본수 3206명) 및 4년제 대학 졸업자(총표본수 7717명)를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다.

주요 분석 결과(조사·통계브리프 참조)는 다음과 같다.

성별로 비교하면 여성이 남성보다 대학 졸업 후 노동시장으로 진입하는 시간이 전반적으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간 구직 기간의 차이를 다시 학력별로 세분하면 4년제 대학 졸업자가 전문대학 졸업생보다 남녀 간 차이가 더 작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대학 졸업 여성의 취업 확률은 졸업 후 3개월 이내(50.4%), 6개월 이내(58.1%), 12개월 이내(71.2%), 24개월 이내(85.8%)로 나타나, 전문대학 졸업 남성[3개월 이내(38.9%), 6개월 이내(45.8%), 12개월 이내(61.9%), 24개월 이내(76.4%)]보다 항상 높은 비율을 유지했다.

4년제 대학 졸업 여성의 취업 확률은 3개월 이내(36.2%), 6개월 이내(44.8%), 12개월 이내(61.7%), 24개월 이내(79.1%)로 나타나, 4년제 대학 졸업 남성[3개월 이내(31.4%), 6개월 이내(39.2%), 12개월 이내(56.3%), 24개월 이내(73.6%)]보다 항상 높으나, 남녀 간 구직 기간 차이는 전문대학 졸업생보다는 낮았다.

대학 졸업생들이 양질의 일자리(정규직·고임금·전공일치)로의 취업 여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분석됐다.

4년제 대학 졸업자는 표본의 80%가 취업 경험이 있으며, 그중 65%는 정규직, 35%는 고임금(월 200만원 이상의 급여로 정의함), 54%는 자신의 전공과 일치하는 일자리를 첫 일자리로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임금 일자리 표본에서 남성 비율이 59%로 여성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대 졸업자는 표본의 83%가 취업 경험이 있으며, 그중 66%는 정규직, 23%만이 고임금, 54%는 자신의 전공과 일치하는 일자리를 첫 일자리로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임금 일자리 표본에서 남성 비율이 68%로 여성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즉 취업/정규직/전공일치 일자리 비율에선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 간 큰 차이는 없으나 고임금 일자리 비율은 4년제 졸업생이 전문대 졸업생보다 10%p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임금 일자리 표본을 전공별로 분석한 결과 전문대 졸업자에선 공학계열 비중(50%)이 가장 높고, 4년제 졸업자에선 인문사회계열(39%)과 공학계열(33%)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미취업 상태의 표본을 살펴본 결과 전공별로는 인문사회계열이 가장 높은 비중(전문대 40%, 4년제 50%)을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첫 일자리를 그만둔 가장 큰 원인은 근로 여건 불만족이며, 불만족이라고 응답한 사람 대부분이 월 급여 200만원 미만으로 나타나, 대졸 청년층이 첫 직장을 관두는 가장 핵심적인 이유는 급여 수준인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대 졸업자는 50% 이상이 근로 여건 불만족으로 첫 일자리에서 퇴직했다. 두 번째 퇴직 이유로는 전문대졸 남성은 직장이나 하고 있는 일이 전망이 없다고 생각(11.4%)이며, 전문대졸 여성은 개인 또는 가족적인 이유(건강, 가사, 육아, 결혼, 학업 계속 등)(18.3%)였다.

4년제 대학 졸업자도 근로 여건 불만족이 퇴직 사유로 가장 큰 비중(남성 46.9%, 여성 45.2%)을 차지했으며, 두 번째 이유로는 전문대 졸업자와 마찬가지로 남성은 일자리 전망(10.4%), 여성은 개인 또는 가족적인 이유(건강, 가사, 육아, 결혼, 학업 계속 등)(18.0%)를 꼽았다.

한편 근로 여건이 불만족이라고 응답한 청년의 대부분(79.9%)은 첫 직장 월 급여가 200만원 미만이며 150만원 미만(42.1%)과 100만원 미만(11.5%)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해, 근로 여건 불만족의 구체적인 이유는 고용이나 근로 형태보다는 임금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소개

1997년 직업 교육과 직업 훈련의 연계·통합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된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국민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교육과 고용 분야에 대한 정책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첨부자료
THE HRD REVIEW 26권 2호 조사·통계 브리프.pdf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카카오톡 채널: https://pf.kakao.com/_xaFJaxj


– 출처 :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969729&sourceType=rss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